Narrator
아침, 회의실. 지도와 상권 분석 자료가 테이블에 펼쳐져 있다.
Morning, in the meeting room. Maps and commercial district analysis materials are spread on the table.
이도연
팝업 스토어라면 젊은 층 많은 대학가나 강남역 근처가 좋겠네요.
For a pop-up store, areas with young crowds like near universities or around Gangnam Station seem good.
동료C
강남역은 임대료가 좀 비쌀 텐데, 그래도 유동인구가 확실히 많죠.
Rent is a bit high near Gangnam Station, but the foot traffic is undeniably high.
박윤희
대학가도 감성적인 데코 가능할 듯. 근데 시즌에 따라 유동인구 변동이 큰 점 주의해야 해요.
Around universities, we can have more sentimental décor. We need to be cautious of foot traffic changes with the seasons.
정민석
클라이언트가 빠른 홍보를 원하니, 접근성 좋은 곳이 우선이죠. 강남역이나 신촌 같은 곳.
Considering the client wants quick promotion, accessibility is key. Something like Gangnam Station or Sinchon.
Narrator
모두 장소 후보를 2~3군데 꼽고, 장단점을 표에 정리한다.
They identify two to three candidate locations and organize the pros and cons in a table.
이도연
일단 신촌, 홍대, 강남역 이렇게 세 곳 정도. 비용 대비 효과를 비교해보죠.
For now, Sinchon, Hongdae, and Gangnam Station. We'll compare cost-effectiveness.
박윤희
이미지상 강남역은 세련된 느낌, 홍대는 젊고 자유로운 느낌. 앱 성격에 맞춰봐야겠어요.
Image-wise, Gangnam offers a sleek vibe, while Hongdae gives off a youthful and free feel. It should match the app's personality.
이도연
맞아요. 클라이언트가 좀더 세련된 이미지를 원하니 강남역이 더 적합할 수도.
Correct. The client desires a more polished image, so Gangnam could be more suitable.
Narrator
후보를 일단 정하고, 다음 단계로 행사 아이디어를 논의하기로 한다.
They set the candidates and plan to discuss the specific promotion ideas in the next phase.
Click a sentence or a word to see the meaning and listen to it.
Play
Confi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