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or
화이트보드에 '체험존', '포토존', '체험미션' 등의 아이디어가 적혀 있고, 팀원들이 열띠게 토론 중.
The whiteboard has ideas like ‘experience zone,’ ‘photo zone,’ ‘experience mission’ written down, with team members enthusiastically debating.
동료C
앱 다운로드한 사람한테 소정의 기념품 주는 건 기본이죠.
Giving small souvenirs to app downloaders is just basic.
박윤희
포토존 만들어서 해시태그 달고 SNS에 올리면 자동 홍보가 될 수도 있어요.
If we set up a photo zone, people sharing on SNS with hashtags could work as automatic promotion.
이도연
체험미션으로 ‘앱으로 주문 후 1분 내 받아보기’ 같은 놀이형 이벤트 어때요?
What about an interactive event like ‘Order via app and receive it within a minute’?
정민석
재미있네요. 고객이 직접 앱을 써보게 하고, 성공 시 할인쿠폰이나 경품.
Sounds fun. Get customers to try the app, and offer discount coupons or prizes on success.
Narrator
화이트보드에 ‘앱 체험 -> SNS 인증 -> 기념품’ 구조가 그려진다.
The ‘App Experience -> SNS Certification -> Souvenir’ structure is drawn on the whiteboard.
이도연
또, 음악이나 간단한 공연 요소 넣으면 더 유입될 수도.
Also, incorporating music or simple performances could bring in more audience.
동료C
그건 예산 괜찮을까요? 소규모 공연비용 생각해봐야 하긴 해요.
Is the budget alright for that? We’d need to consider the cost of small performances.
정민석
일단 아이디어로 두고, 예산 보고 클라이언트가 결정하게 하면 되죠.
Let’s keep it as an idea and let the client decide based on budget evaluation.
박윤희
오케이, 그럼 메인 아이디어: 앱 체험존 + 포토존 + 간단한 이벤트로 정리하죠.
Okay, so our main idea: app experience zone + photo zone + simple events. Let's solidify this.
Narrator
모두 동의하며 자세한 세부 사항은 다음 회의에서 확정하기로 한다.
Everyone agrees, with plans to finalize details in the next meeting.
Click a sentence or a word to see the meaning and listen to it.
Play
Confi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