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or
오후, 정민석과 도연이 간단히 대화를 나눈다. 도연이 해외 파트너 리스트를 보여준다.
Afternoon, Jeong Minseok and Doyeon chat briefly. Doyeon shares overseas partner lists.
이도연
A사는 동남아 인플루언서 네트워크 강점, B사는 영어권 대형 대행사... 비용은 꽤 비싸요.
A has a strong Southeast Asian influencer network, B is a major English global agency... though pricy.
정민석
단순 협업이 아니라 투자 형태로 들어가야 하나?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Is it simply collaboration or should investment be required? Client expectations?
이도연
일단 저희 스타트업도 해외 진출 고려 중이잖아요. 대행사 협업 모델이 자연스러울 듯.
The startup too is eyeing foreign entry, thus agency collaborations appear natural.
정민석
그렇죠. 위험 부담 줄이고, 현지화 지원 받으려면.
Exactly. Reducing risks and gaining local support.
Narrator
도연이 비용 대비 효과를 엑셀로 정리한 표를 건넨다. 팀장이 자세히 살펴본다.
Doyeon hands an Excel sheet detailing costs vs benefits. The team leader scrutinizes closely.
정민석
비용이 만만치 않지만, 진출 속도는 빨라지겠네요.
Though financially substantial, speed toward entry improves.
이도연
네, 대표님께 시나리오로 보고하면 되겠어요. 1) 동남아 우선, 2) 영어권 우선, 3) 둘 다 단계적.
We’ll snapshot these scenarios to the representative: 1) Southeast Asia first, 2) English regions first, 3) Incremental approach to both.
정민석
좋아요. 그럼 정리해서 대표에게 컨펌받고, 클라이언트도 해외 쪽 생각 있으면 연결해봅시다.
Great. Get representative approval and, if the client too considers overseas expansion, align the connections.
Click a sentence or a word to see the meaning and listen to it.
Play
Confi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