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or
며칠 후, 도연이 팀원들과 함께 기사 인터뷰 예상 질문 목록을 적고 있다. 화이트보드에 ‘Q&A’ 섹션이 커다랗게 적혀 있다.
A few days later, Doyeon prepares a list of expected interview questions with her team. The whiteboard prominently displays ‘Q&A’ sections.
도연
우선 ‘회사 설립 배경’, ‘주요 제품 특징’, ‘마케팅 전략’ 정도는 기본 질문이겠죠?
Questions like 'Company Founding Background,' 'Main Product Features,' and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basic, right?
팀원E
네, 그리고 ‘향후 계획’이나 ‘시장 경쟁 우위’도 물어볼 가능성이 커요.
Yes, and questions like 'Future Plans' or 'Market Competitive Edge' are highly likely.
도연
맞아요. 특히 최근 해외 협업 시도에 대해 물어볼 수도 있고, 실패한 협상 이야기도 나올 수 있겠네요.
Correct. They might inquire about recent overseas collaboration attempts, even mention failed negotiations.
팀원E
그 부분은 어떻게 대응할까요? 협상이 잠정 중단된 건데, 부정적인 뉘앙스가 나올 수도 있어요.
How should we handle that? The negotiations are temporarily on hold, there might be negative tones.
도연
음, ‘아직 논의 중’ 정도로 말하고, 회사가 해외 진출을 적극 모색 중이라는 긍정 메시지로 전환하면 좋겠네요.
We could say 'still under discussion' and pivot to emphasize the company's proactive pursuit of overseas expansion.
팀원E
네, 좋습니다. 그리고 ‘직원들의 혁신 문화’ 같은 질문도 있을 것 같아요. 최근 팀 빌딩 이벤트도 언급할까요?
Sounds apt. Questions on 'Employee Innovation Culture' might also come up. Should we mention the recent team-building event?
도연
네, 사내 문화에 대한 질문이면 긍정적 예시로 말할 수 있겠죠. ‘협업과 열정’이라는 키워드를 강조하면 될 듯해요.
Yes, it would be positive evidence, highlighting 'Cooperation and Passion' as key words.
팀원E
좋아요. 그럼 답변 초안을 정리해 두고, 대표님께도 검토 받죠.
Great. Let’s draft the answers and have them reviewed by the representative.
Narrator
도연은 키워드를 빠르게 타이핑하며 FAQ 형식으로 문서를 만든다.
Typing quickly, Doyeon crafts the document in a FAQ format.
Click a sentence or a word to see the meaning and listen to it.
Play
Confi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