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or
오전 사무실, 윤희와 도연이 나란히 앉아 화이트보드에 ‘Brand Identity’ 항목을 적어간다.
In the morning office, Yoon-hee and Doyeon sit together, jotting down 'Brand Identity' elements on a whiteboard.
윤희
먼저 로고는 공식 버전, 세로 버전, 축소 버전 세 가지를 넣으면 되죠?
First, the logo should include three versions: the official version, the vertical version, and the reduced version, right?
도연
네, 그리고 컬러 팔레트는 메인 컬러 하나, 서브 컬러 두 개, 포인트 컬러 하나 정도면 충분하겠어요.
Yes, and for color palettes, one main color, two sub colors, and one point color should suffice.
윤희
폰트는 기존에 썼던 N 폰트 유지할까요, 아니면 새로 바꾸나요?
Shall we keep using the existing N font for consistency, or should we switch to a new one?
도연
대외적으로 일관성을 위해 유지하는 게 좋죠. 대신 제목 폰트만 약간 변형이나 보조 폰트를 추가하면 어떨까요?
For consistency in external communication, it's best to keep it. But how about modifying the headline font a bit or adding a supplemental font?
윤희
좋네요. 톤앤매너에 대해서는 어떤 단어를 키워드로 잡을까요?
Sounds good. What keywords should we base the tone and manner on?
도연
‘밝음, 혁신, 친근함’ 정도? 그리고 ‘신뢰감’도 빼놓을 수 없죠.
Perhaps ‘Brightness, Innovation, Friendliness’? And we can’t omit ‘Trust.’
윤희
네, 그럼 이 다섯 가지 키워드를 기반으로 문서 전체 분위기를 잡아볼게요.
Alright, let's use these five keywords as a foundation for the document's overall tone.
도연
좋아요. 각 항목을 한 페이지씩 할애해서 활용 가이드를 넣어야겠어요.
Good. We should dedicate a page for each element, providing a usage guide.
윤희
동의합니다. 이제 대표님 승인만 받으면 디테일하게 들어갈 수 있겠네요.
Agreed. Once we get the CEO's approval, we can go into the details.
Narrator
두 사람은 의견을 주고받으며 브랜드 북의 골격을 확정 짓는다.
The two solidify the framework for the brand book through their exchange of opinions.
Click a sentence or a word to see the meaning and listen to it.
Play
Confirm